본문 바로가기
호주생활(Life in Australia)

호주에서의 임신과 출산 시리즈 3: 호주의 출산 방식, 선택 및 회복 과정 주의 사항

by 호주마마 2025. 1. 5.

호주에서 아이를 출산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자연분만과 수중분만을 고민을 하다 결국엔 계획된 제왕절개로 건강한 아이를 출산했습니다. 저는 아기가 거꾸로 자리 잡았고(역아) 체중도 커서 (4.12kg) 안전한 출산을 위해 제왕절개를 결정했습니다. 이렇게 호주에서 출산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각 방법은 산모와 아기의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요 출산 종류와 특징 및 회복과정의 주의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선택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호주 출산방식 종류와 특징

1.자연분만 (Vaginal Birth)

자연분만을 영어로 Virginal birth 와 Natural birth 라고 할수 있는데,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Natural birth 는 의학적 개입의 정도에 중점을 두며, 최소한의 의료 개입으로 출산을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Virginal birth 는 출산 경로에 중점을 두며, 아기가 질을 통해 나오는 모든 분만을 포함합니다. 즉, 모든 Natural birth 는 Virginal birth 일 수 있지만, 모든 Virginal birth 가 Natural birth는 아닙니다.
  • 정의: 질을 통해 아기가 태어나는 가장 일반적인 출산 방법입니다. 자연분만은 특별한 의료 개입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특징:
    • 진통과 자궁 수축이 자연적으로 일어납니다.
    • 보통 에피두랄(마취제) 또는 진통제 없이 진행됩니다.
    • 회복 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릅니다.
    •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산모와 아기 모두 건강한 출산을 할 수 있습니다.

호주-한국 출산 통계 비교 (2024)
호주의 경우: 자연분만이 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계획된 제왕절개가 18% 응급 제왕절개가 17% 전체적으로 제왕절개 비율이 35% 한국의 경우: 자연분만이 52%로 절반 정도를 차지 계획된 제왕절개가 30% 응급 제왕절개가 18% 전체적으로 제왕절개 비율이 48% 주목할 만한 점은: 한국이 호주보다 제왕절개 비율이 13% 더 높습니다 한국의 출산 연령이 전반적으로 더 높습니다 호주가 한국보다 자연분만 비율이 13% 더 높습니다 한국의 계획된 제왕절개 비율이 호주보다 12% 더 높은 반면, 응급 제왕절개 비율은 비슷합니다. <출처:AUSTRALIA BUREAU OF STIATISTICS 통계청의 내용 스크린 샷>

 

2. 제왕절개 (Caesarean Section)

  • 정의: 복부와 자궁을 절개하여 아기를 직접 꺼내는 수술적 방법입니다. 출산 중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시행되며, 예정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 특징:
    • 자궁이나 아기에게 위험이 있을 때, 예를 들어 태아가 잘못된 위치에 있을 때, 태반 문제가 있을 때 또는 산모가 고혈압 등 위험 요소를 가질 때 사용됩니다.
    • 수술 후 회복에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 출산 계획이 제왕절개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응급 상황에서 급히 결정되기도 합니다.

3. 무통분만 (Natural Birth without Pain Relief)

  • 정의: 자연적인 진통을 겪으면서도 약물이나 에피두랄 없이 출산을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 특징:
    • 진통을 자연스럽게 견디는 방식입니다.
    • 물속에서 출산을 하거나, 자유롭게 움직이며 진통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기도 합니다.
    • 일부 산모는 요가, 명상, 호흡법 등을 활용해 진통을 완화하기도 합니다.

4. 수중분만 (Water Birth)

  • 정의: 물속에서 출산하는 방법으로, 진통을 물속에서 완화하고, 아기가 물속에서 태어나는 방식입니다.
  • 특징:
    • 물의 부드러움과 온도 차가 진통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일부 공공병원이나 사립병원에서는 물속에서 출산할 수 있는 특별한 시설이 제공됩니다.
    • 물속에서 태어난 아기는 물에서 나온 직후 숨을 쉬게 되며, 물속에서 자연스럽게 출산이 이루어집니다.

5. 유도분만 (Induced Labour)

  • 정의: 자연적인 진통 없이 의학적으로 진통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의사가 약물 또는 기계를 사용하여 진통을 일으키게 합니다.
  • 특징:
    • 임신이 만삭이 되었거나 산모와 아기의 건강 상태가 위험할 경우, 의사가 유도분만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 유도분만은 때때로 인공적인 자궁수축을 유발하여 진통을 시작하게 만듭니다.
    • 유도분만 후 자연분만이 진행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제왕절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6. 홈베이비 (Home Birth)

  • 정의: 병원이 아닌 집에서 조산사의 도움을 받아 출산하는 방법입니다.
  • 특징:
    • 의학적인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연적인 출산을 선호하는 일부 산모가 선택합니다.
    • 홈베이비는 자격 있는 조산사의 지도 하에 진행되며, 고위험 임신에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 출산이 예상보다 어려운 경우 병원으로 이동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7. 제왕절개 후 자연분만  (VBAC, Vaginal Birth After Caesarean)

  • 정의: 이전에 제왕절개를 한 산모가 자연분만을 시도하는 방법입니다.
  • 특징:
    • 두 번째 출산에서 자연분만을 시도하되, 과거에 제왕절개를 한 경험이 있어 위험 요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산모는 제왕절개 후 자연분만을 안전하게 할 수 있지만, 특정 조건에서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지도 아래 진행됩니다.

진통제 및 마취 사용

  • 출산 중 진통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진통제나 마취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에피두랄(척추마취), 가스(Nitrous Oxide), 마취 주사 등이 있습니다. 약물의 종류나 사용 여부는 산모의 건강 상태와 출산 계획에 따라 결정됩니다.

임신을 한 배위에 하트모양을 한 손
출처:픽사베이

출산 방식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1) 산모의 건강 상태

  • 기존 질환(고혈압, 당뇨병 등)이나 합병증(태반 위치 이상, 자궁 문제)이 있는 경우, 제왕절개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
  • 골반 크기나 아기의 체중이 정상 범위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 출산 경험

  • 첫 출산인지, 과거에 자연분만이나 제왕절개 경험이 있는지에 따라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전 제왕절개 경험이 있다면, 제왕절개 후 자연분만(Vaginal Birth After Cesarean)가능 여부를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3) 아기의 상태

  • 아기의 자세(머리가 아래로 향했는지, 역위인지)나 건강 상태(심박수, 체중 등)를 확인합니다.
  • 쌍둥이나 다태아의 경우, 제왕절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산모의 선호도

  • 산모가 어떤 방식에 대해 심리적, 신체적으로 더 편안함을 느끼는지도 중요합니다.
  • 자연분만을 원하더라도, 긴급 상황 시 제왕절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각 출산 방식별 회복 과정 및 주의 사항

(1) 자연분만(Vaginal Delivery)

회복 과정

  • 일반적으로 빠르며, 산후 첫 24~48시간 내에 움직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 회음부 절개(필요시) 부위에서 약간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평균 회복 기간은 1~2주 정도입니다.

주의 사항

  • 회음부 관리: 절개 또는 찢어진 부위를 청결히 유지하고, 좌욕 등을 통해 회복을 돕습니다.
  • 배뇨 문제: 출산 후 초기에는 배뇨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조산사나 의료진의 도움을 받으세요.
  • 골반저 근육 운동: 출산 후 골반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케겔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회복 과정

  • 입원 기간: 일반적으로 3~5일간 병원에 머뭅니다.
  • 상처 회복: 수술 부위의 통증은 약 12주간 지속될 수 있으며, 완전 회복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활동 제한: 무거운 물건 들기, 격렬한 운동은 회복될 때까지 피해야 합니다.

주의 사항

  • 상처 관리: 수술 부위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해야 하며, 감염 징후(발열, 붉은 부위 등)가 있으면 즉시 의사와 상담하세요.
  • 혈전 예방: 수술 후 혈전이 생길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가벼운 움직임을 시작하세요.
  • 약 복용: 진통제와 항생제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합니다.

(3) 진통 유도 분만(Induced Labor)

  • 회복 과정: 자연분만과 비슷하지만, 인공적으로 유도된 진통은 더 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진통 후 산모의 피로도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유도제 사용에 따른 자궁 과수축 가능성을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의학적 지원을 받습니다.

(4) 물속 분만(Water Birth)

    • 회복 과정: 자연분만과 유사하며, 물의 부드러운 압력이 통증을 완화해 산모의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위생적인 환경과 의료진의 감독이 필수입니다.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출산 방식 선택에 대한 의사와의 상담

출산 방식은 의료적 상황, 개인의 선호, 예상되는 위험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의사와 충분히 상담하여 장단점을 이해하고, 긴급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는 유연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산 후의 관리와 주의 사항도 사전에 숙지해 두면, 회복 과정을 보다 편안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임신은 엄마와 아기에 있어 특별하고 소중한 여정입니다. 이 여정은 때로는 기대와 설렘으로 가득하고, 때로는 약간의 두려움과 걱정이 함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감정은 자연스럽고, 그만큼 준비와 지원을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출산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호주의 출산 시스템은 엄마와 아기의 건강과 유대감을 중시합니다. 출산 방식 선택부터 출산 후 회복까지, 따뜻하게 도와준 덕분에 저도 엄마라는 여정을 즐거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임신축하드립니다. 엄마가 되는 여정을 응원하며, 건강하고 행복한 출산을 기원합니다. 이 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은 이미 훌륭한 엄마로서의 첫걸음을 내디뎠고, 앞으로도 사랑과 지혜로 가득한 길을 걸어갈 것입니다.

 

2025.01.05 - [호주생활] - 호주에서의 임신과 출산 시리즈 1: 한국과 호주 임신·출산 의료시스템 비교

2025.01.05 - [호주생활] - 호주에서의 임신과 출산 시리즈 2: 첫 발걸음부터 아기 맞이까지